본문 바로가기

부동산/부동산 꿀팁7

월세 소득공제 조건과 혜택은? 안녕하세요. 행복한 아재 입니다.오늘은 연말정산시 월세 소득 공제를 받기 위한 조건을 살펴 보겠습니다. 월세 소득공제 해당 조건 1. 무주택세대의 세대주인 근로자이거나 또는 월세액 세액공제를 포함한 주택자금공제를 세대주가 받지 않은 경우에는 그 세대원인 근로자 즉 전입신고한 세대주와 세대원 모두 집이 없어야 하며 한집에서는 세대주나 세대원중 1명만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2. 2017년 총급여액이 7000만원 이하로서 국민주택규모(85m2 / 25.7평) 이하 주택(주거용 오피스텔 및 고시원 포함)에 대해 월세를 지출한 경우가 대상이다. 근무한 회사가 여러 곳이라면 총급여액을 합산해 7000만원 이하여야 한다. 3. 총급여가 7000만원 이하여도, 기타 소득이 있어서 7천만원이 초과되면 환급 대상.. 2018. 5. 27.
오피스텔 전입신고만 하고 확정일자 안받으면 소액임차보증금 보호를 못받나? 안녕하세요 행복한 아재 입니다. 오늘은 오피스텔에 전세나 월세를 얻는 분들에게 유용한 정보 정리 했습니다. 1. 집주인들이 오피스텔 월세를 싸게 주는 대신에, 전입신고를 못하게 하는 Case 이런 경우는 오피스텔을 업무용으로 매입 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오피스텔은 업무용과 주거용으로 구분 되는데요. 주거용은 일반 주택과 동일하게 전입신고, 확정일자를 받을 있지만, 업무용은 사무실로 구분되기 때문에 전입신고, 확정일자를 할 수 없습니다. 그럼 왜 주인들은 오피스텔을 업무용으로 분양 받은걸 까요 ? 바로 오피스텔 건물가격의 10%에 해당하는 부가가치세를 환급 받을 수 있기 때문 입니다. 아래 그림을 보시면 이해가 되실 겁니다. 서울 마포구에 A씨가 오피스텔을 업무용으로 분양 받아 사업자 등록을 하면 건물가.. 2018. 5. 27.
종합부동산세 계산하기 안녕하세요. 행복한 아재 입니다.오늘은 종합부동산세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종합부동산세란?종부세는 주택, 나대지, 상가 건물 부속 토지를 많이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내는 세금 입니다. 기본적으로 아래 표와 같이 일정 금액을 넘어야 과세가 됩니다. 주택은 개인별로 6억 원이므로 공동 등기를 하면 12억 원까지는 비과세가 됩니다. 출처 네이버지식백과 종합부동산세 합산 배제 주택 종합부동산세 과세대상에서 배제 되는 주택도 있습니다. 팁으로 알아 두세요 출처 네이버지식백과 종합부동산세는 언제 누가 내는가?종부세는 매년 6월 1일 현재 소유권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납부해야 합니다. (취득 시기는 통상 잔금 청산일과 등기일 중 빠른 날).즉 6월 1일 전에 양도를 하면 종부세를 안내셔도 됩니다.종부세의 납부기한.. 2017. 2. 1.
부동산 실거래가 조회할때 부동산랭킹 추천 안녕하세요. 행복한 아재 입니다. 오늘은 아파트 실거래 파악할때 자주 활용하는 부동산랭킹 이란 사이트를 소개해 드릴께요 국토부 실거래 데이터 기반으로 여러가지 부동산 지표를 아주 편리하게 볼수 있습니다. 제일 마음에 드는것은 아파트뿐만이 아니라 시/구/동별 시세도 볼수 있는건데요 거시적인 관점에서 부동산 시세를 파악할때 아주 좋습니다. 아파트 평당가 랭킹 전국에서 제일 평당가가 비싼 동네는 어디일까? 우리 아파트 평당가는 얼마일까? 출처 부동산랭킹 아파트 매매가 랭킹 전국에서 제일 비싼 아파트는 어디? 서울에서 제일 저렴한 아파는 어디? 출처 부동산랭킹 아파트 상승률/상승액 랭킹 우리 아파트가 3달전/1년전/10년전보다 얼마나 올랐을까? 출처 부동산랭킹 아파트 전세가율 랭킹 갭투자 하시는분들께 아주 유용.. 2017. 1. 27.
아파트 재산세 계산하기 안녕하세요 행복한 아재 입니다. 오늘은 아파트 재산세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재산세란 ? 자신이 보유한 자산에 대해서 내는 세금을 제산세라고 합니다. 본인의 차와 집이 있는 대한민국 국민은 매년 부동산 재산세와 자동차세를 내셔야 합니다. 부동산 세금은 대표적으로 3가지가 있는데요 취득세와 양도소득세는 지난 포스팅을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부동산을 취득시 내는 취득세 계산하기 부동산을 팔때 내는 양도소득세 계산하기 부동산을 보유하는 기간 동안 내야하는 세금이 바로 재산세 입니다. 재산세의 과세대상 재산세가 부과되는 대상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아파트의 경우는 주택에 해당이 됩니다. 별장은 주택에 해당이 되지만 종부세 대상은 아니군요. 출처 http://blog.naver.com/genesis421/2207.. 2017. 1. 23.
아파트 취득세 계산하기 안녕하세요. 행복한 아재 입니다. 오늘은 아파트 취득세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취득세란 ? 부동산을 취득할때 내야하는 세금을 말합니다. 취득세는 취득한 날부터 60일(상속은 6개월)에 취득가액에 세율을 곱한 세액을 신고·납부해야 한다. 만약 취득세 신고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미납세액의 20%가 가산세로 부과됩니다. 취득시기는?일반적인 매매의 경우 계약서상의 잔금 지급일이 취득 시기가 됩니다. 그런데 계약상 잔금 지급일이 명시되지 않으면 계약일부터 30일이 경과되는 날이 취득시기가 됩니다. 만약 취득일 전에 등기를 했다면 등기일이 취득 시기가 됩니다. 무상으로 취득한 경우 증여일 경우는 증여일(증여 계약서를 작성한 날)이 취득 시기가 됩니다. 상속은 피상속인이 사망한 날(상속개시일)이 취득 시기가 됩니.. 2017. 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