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행복한 아재 입니다.
요즘 각종 매스컴에서는 올해 부동산에 대한 우울한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
집값이 하락하고, 금리는 오르고, 분양물량은 최대라고 합니다.
네이버 부동산 뉴스의 핫이슈만 봐도 대충 분위기 파악이 됩니다.
"올해 집값 떨어진다", "현실로 다가온 분양한파" 기사가 눈에 들어 오네요
그럼 정말 뉴스 기사처럼 작년 11월 3일 부동산 대책 이후 아파트 가격이 하락세인지 살펴 보겠습니다.
부동산랭킹에서 아파트 상승률을 검색해 봤습니다.
2016년 9월과 2016년 12월에 실거래된 전국 아파트 평당가를 비교하여 아파트 가격 상승률을 구했네요.
뉴스 기사만 봐서는 전국이 모두 하락할것 같은 느낌이였지만, 실제로는 그렇치 않네요
부산은 3%나 상승을 했고, 서울도 2% 상승 했습니다.
반면 세종시는 11%나 하락을 했네요. 오르고 내린 지역들이 혼재되어 있습니다.
출처: 부동산랭킹
그럼 부산 구별로 아파트 상승률을 보겠습니다.
부산 서구 아파트가 14% 상승하여, 1위를 차지했습니다.
반면 부산 중구는 12% 하락 했습니다.
다음은 가장 많이 하락한 세종시 동별 상승률을 살펴 보겠습니다.
동별로 살펴보니 오르고 내린 지역들이 있네요.
세종시 금남면이 8% 상승했고, 세종시에서 제일 비싼 어진동이 4% 하락했습니다.
세종시 어진동의 아파트별 상승률을 살펴 보겠습니다.
실제로 2016년 9월과 12월에 모두 거래된 아파트는 2건 뿐이네요.
어진동 더샵레이크파크가 2016년 9월에 비해서 5천만원 하락하여 11%의 하락을 했습니다.
어진동 더샵레이크파크의 실거래 내역을 보겠습니다.
2016년 12월에는 3층만 약 3.8억에 거래가 되었고 9월에는 총 3건이 거래가 되었습니다.
3층은 저층이기 때문에 로얄층에 비해서는 3천~4천 정도의 가격차가 나는게 정상 이지요.
실제 데이터로 확인해보니 세종시 11% 하락은 저층과 로얄층의 가격차로 인한거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서울도 구별 아파트 상승률을 살펴 보겠습니다.
서울은 구별로 하락곳이 거의 없습니다. 서울 용산구는 18%나 상승을 했네요.
서울 용산구에 무슨 호재라도 있나요? 동별 상승률도 살펴 보겠습니다.
이촌동이 19%, 원효로4가 15%, 산청동 6% 순으로 상승을 했습니다.
원효로4가의 아파트별 상승률을 살펴보니 강변삼성스위트 2건이 거래가 되었는데
2016년 9월에 비해서 전용 85제곱미터가 1.1억, 73제곱미터는 5천만원 상승 했습니다.
용산구 강변삼성스위트 입지가 아주 좋네요.
한강이 아주 잘보이는 위치 입니다. 입주 18년차 단지로써 전용 84.9 기준으로 최근 3개월 매매가 평균은 6.5억
최근 3개월 전세가는 4.5억으로 전세가율 69% 입니다.
1년전에 비해서 매매가가 20%나 상승을 했네요.
강변삼성스위트 실거래 내역 입니다.
최근에 가격이 오름세를 타고 있습니다.
향후 한강 프리미엄을 생각해보면 좋은 입지에 위력은 커질것으로 보이네요
2006년부터 실거래 추이를 살펴 보겠습니다.
2007년에 7.4억이 최고가이고, 이후 하락하여 2015년 5.2억에 거래가 되었네요
2016년은 평균 6.1억까지 상승을 했습니다.
한강 프리미엄을 고려할때 저평가라는 인식으로 최근 상승세를 타고 있는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전국아파트시세 동향 포스팅을 마치 겠습니다.
결론은 부동산 전망이 우울하다고 해서 모든 지역이 떨어지는것은 아닙니다.
어느 지역에 어떤 아파트냐에 따라서 다르다는 거죠.
평소 본인의 관심지역을 찜해 두시고, 부동산 불황기에 나오는 급매를 잡는것도 내집을 싸게 장만 할 수 있는 방법 입니다.
요즘 날씨가 무척 춥네요. 모두 감기 조심하시구요.
제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덧글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부동산 > 전국 아파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국 미분양 아파트 현황 (2017년 4월) (0) | 2017.06.04 |
---|---|
전국 미분양 아파트 랭킹 (2017년 3월) (0) | 2017.05.01 |
전국 미분양 아파트 랭킹(2017년 2월) (0) | 2017.04.03 |
전국 미분양 아파트 현황 (2017년 1월) (0) | 2017.03.04 |
전국미분양아파트 현황(2016.12) (0) | 2017.02.04 |